TIME UPON A TIME

2024. 3. 9 - 2024. 4. 7

Daido Bro






펼쳐진 시간 속 순간의 영원함 

- TIME UPON A TIME Review 

글 조덕기

다이도 유키와 다이도 코키 형제의 TIME UPON A TIME 전시에 들어서면 전시를  설명하는 이렇다할 글이 없다. 전시를 홍보하는 계정에 들어가도 다이도 형제의  지난날을 돌아보는 간단한 소개글이 전부이다. 따라서 전시의 소식을 미리 접하고 온  관람객도, 전시 소식이나 전시가 개최되는 공간에 대한 정보 없이 우연히 전시장에 들어선  관람객도 모두 비슷한 정보를 가지고 전시장에 입장하게 된다. 

전시는 중앙면을 압도하는 나무 벽과 시트지로 부착된 사진 위에 직접 만든 열 권의 책이  놓여진 벽, 그리고 포스터가 부착되어있는 벽으로 구성되어있다. 중앙면의 사진이 어떤  규칙으로 배열되었는지, 사진 간에 어떤 연관성이 있는지 직관적으로 알아채기는 힘들다.  그러나 중앙에 위치한, 누군가의 방을 촬영한 사진은 본인이 주인공이라는 존재감을  드러내고 있다. 단순히 크기나 위치에서 오는 압도감이 아니다. 이 사진은 방 안에서 차를  한 잔 즐기다 우연히 촬영해서 얻은 분위기 있는 장면과는 미묘하게 다른 분위기를  풍긴다. 일반적인 시선이라고 하기에는 어정쩡하게 높은 위치에서 촬영된 장면은 마치 이  사진이 무언가를 '기록'하기 위해 촬영되지 않았을까 하는 단서를 준다.  

기렇다면 '기록'은 형제에게 어떤 의미를 가질까? 그것이 TIME UPON A TIME이라는  전시의 제목과 관련이 있지 않을까? 

우리가 본 것, 느낀 것, 만난 사람, 그 때의 기억은 우리의 기억 내지 추억이라는 이름으로  머릿 속에 저장되곤 한다. 그것이 영원하다면 좋겠지만, 안타깝게도 기억과 추억은 가슴  속에서는 영원히 아름답게 빛날지라도 실제의 상황은 극단적인 어떤 단편들을  제외하고는 뿌옇게 흐려져 단단한 형태를 잃곤 하며, 어떤 기억은 처음부터 있었는지도  모른 채 사라지곤 한다. 다이도 형제는 이 사라지는 기억을 보존하기 위해 사진을 찍는다.  매우 전통적인, 어쩌면 사진의 본질에 가까운 행위라고 할 수 있다.  

전시의 메인 벽은 사진이 차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관람객이 가장 많은 시간을  할애하는 부분은 형제들이 직접 만든 책으로 가득한 좌측 벽이다. 형제는 따로 또 같이  책을 펴낸다. 그러나 책의 흐름은 꽤나 자연스러워서 마치 한 사람의 시각으로 꾸려진  구성으로 보인다. 책과 책의 흐름 역시 마찬가지다.  

방대한 양의 이미지에서는 사회 고발 내지 문제 의식이 두드러지지 않는다. 그들의 기록이  ‘상실’에서 비롯되었음을 감안할 때 보일 수 있는 특유의 압도적인 절박함이나 집착적인  모습 역시 보이지 않는다. 솔직하다. 있는 그대로의 기록이다. 형제의 사진은 자유롭다.  정식 출간된 소수의 책을 제외하면 전부 직접 손으로 만들었기에 형식 역시 자유롭다. 10 

년이라는 세월의 방대한 이미지는 자유로운 형식 안에서 보는 이를 지치지 않게 한다. 

기록은 10년이라는 시간의 흐름을 업고 강력한 힘을 만들어낸다. 이 솔직함이 다이도  형제의 사진이 가진 힘이라고 생각한다. 그들의 사진은 ‘기록’의 직역인 ‘다큐멘터리’와도  다르며, 오히려 아주 사적인 역사서에 가깝다.  

그들은 묵묵히 기록할뿐이다. 현대 사회에서 저평가되곤 하는 가치인 ‘인내’에  해당할지도 모르겠다. 그들은 묵묵히 사진을 찍고, 맥락을 만들고, 결과물을 내놓는다.  그리고 다시 그 과정을 반복한다. 이 솔직함이 그들의 사진을 강하게 만든다. 

'보고' '기록하고' '만들어내는' 행위의 시간이 쌓인 전부가 한 벽에 놓여있는 셈이다.  그래서 TIME UPON A TIME일지도 모르겠다. 

이 전시의 모든 초점은 사진을 '보는 것'에 맞춰있으며, 다이도 형제는 전시의 취지에  충실하게도 최대한 많은 것을 보여주고 싶어했다. 그리고 그 사진들을 본 제 3자의  감정이 궁금했을 것이다. 전시장 한 켠에 놓여있는 방명록에는 전시를 본 사람의  피드백이 놓여있다. 이름과 날짜를 남기는 대부분의 방명록에 반해 짧더라도 간단한  글이 많은 것을 보건대, 이 피드백은 아마 긴 시간을 들여 내놓은 형제의 모든 것을 본  사람이 남긴 일종의 인사일지도 모르겠으며, 의식을 했든 하지 않았든 형제의 켜켜이 쌓인  시간(TIME)의 작은 일부에 남고 싶다(UPON A TIME)는 욕망에서 비롯되었을지도  모르겠다는 생각이 든다.




The Eternity of Moments in the Time Upon A Time 

- TIME UPON A TIME Review 

by Ducky Cho

Upon entering the Daido Yuki and Daido Koki brothers' TIME UPON A TIME  exhibition, one is met with an absence of explanatory text. Even the promotional SNS  accounts only offer a brief look back at the Daido Brothers' past. Thus, whether visitors  have been previously informed of the exhibition or have stumbled upon it by chance,  without prior knowledge of the show or the space, they enter with a similar lack of  information. 

The exhibition is arranged with an captivating wooden wall at the center, photographs  affixed to vinyl sheets, and ten hand-crafted books placed upon the wall, alongside wall  with exhibition poster. It's not immediately clear how the central photographs are  arranged or if there is a correlation between them. However, the central photograph of  someone's room reveals a presence as if to say 'I am the protagonist here.' It's not just the  size or the placement that dominates. The image, captured from an subtly high position  that is not quite the usual perspective, creates a subtly different atmosphere from the  ambient scenes casually captured by someone enjoying tea at a table in the room, and  gives a clue that perhaps the photo was taken to 'record' something rather than just being  a casual shot. 

So what does 'record' mean to the brothers? Could it be related to the exhibition's title,  TIME UPON A TIME? 

What we see, feel, the people we meet, and memories of those times are stored in our  minds as memories or recollections. Though it would be ideal for these to last forever,  sadly, even if memories and recollections shine eternally in our hearts, the actual  situations often blur, losing their solid form, with some memories fading as if they had  never existed. The Daido Brothers take photographs to preserve these fading memories.  It is an act that is very traditional, perhaps even close to the essence of photography itself. 

Despite the main wall being dominated by photographs, visitors spend the most time at  the left wall filled with books created by the brothers. They produce these books both  separately and together, yet the flow of the books seems natural, as if composed through  one person's vision. The sequence and progression of the books are consistent with this  impression. 

A vast quantity of images does not explicitly critique society or express a problem  consciousness. The unique urgency or obsession that might be expected when records  stem from 'loss' is also not evident. It is honest. It's a record in its truest form. The  brothers' photographs are free; except for the few that have been formally published, they  have all been handcrafted, allowing for a freedom of form. This freedom keeps the viewer  engaged across the expanse of a decade's worth of images. 

The record carries a strong force, upheld by the flow of ten years. I believe this honesty  is the power of the Daido Brothers' photographs. Their work transcends the literal  translation of 'documentary' and is rather akin to a very personal history book. 

They simply record. It could correspond to the value of 'patience,' often undervalued in  modern society. They diligently take photographs, create context, and present the  outcome, only to repeat the process again. This sincerity is what gives their photographs  strength. 

The entire focus of this exhibition is on the 'act of seeing' the photographs, and the Daido  Brothers have faithfully endeavored to show as much as possible in keeping with the  purpose of the exhibition. Moreover, they must have been curious about the emotions of  the third-party observers who saw those photographs. In a guest book placed in a corner  of the exhibition space, feedback from viewers is gathered. Considering the volume of  brief but meaningful entries as opposed to the usual name and date, this feedback might  be a form of greeting from those who spent considerable time engaging with everything  the brothers laid out; a small desire, conscious or not, to be a part of the layers of TIME  the brothers have accumulated UPON A TIME.




Time Upon A Timeにおける瞬間の永遠性 

- TIME UPON A TIME レビュー 

by Ducky Cho

大道兄弟、大道優輝と大道康輝の TIME UPON A TIME 展に入ると、説明文が一切ないこ とに気づく。展示を宣伝するアカウントを見ても、大道兄弟の過去を振り返る簡単な紹介文が あるだけだ。従って、展示会について事前に情報を得ていた観覧客も、展示の情報や展示され る空間についての情報がないままに偶然立ち寄った観覧客も皆、似た情報を持って展示場に 入場することになる。 

展示は、中央面を圧倒する木の壁と、シートで貼られた写真の上に10 冊の手作りの本が並ん だ壁、そしてポスターで飾られた壁で構成されていた。中央面の写真がどのような規則で配置 されたのか、写真間にどのような関連性があるのかを直感的に気づくことは難しい。しかし、中 央に位置する誰かの部屋の写真は、自分が主人公であるという存在感を示している。単純に大 きさや位置から来る圧倒感などではない。それは部屋にいた人がテーブルでお茶を一杯飲んで 偶然撮影した雰囲気のある風景とは、微妙に異なる雰囲気を漂わせている。一般的な視線と 言うには微妙に高い位置から撮影された場面は、まるで何かを「記録」するために撮影された 写真ではないかという手がかりを与える。 

では、「記録」は兄弟にとってどのような意味を持つのだろう?それがTIME UPON A TIMEと いう展示のタイトルと関連しているのではないだろうか? 

私たちが見たもの、感じたもの、会った人。その時の記憶は、私たちの頭の中に記憶や追憶とい う名前で保存されたりする。それが永遠であれば良いが、残念ながら記憶と追憶は心の中では 永遠に美しく輝いても、実際の状況は極端なある断片を除いてはぼんやりとぼやけてり形を失 ったり、ある記憶は最初からあったのかもわからないまま消えてしまったりする。大道兄弟はこ の消えゆく記憶を保存するため写真を撮る。とても伝統的で、もしかすると写真の本質に近い行 為だと言える。 

展示のメインの壁は写真が占めているにもかかわらず、観覧客が最も多くの時間を費やす部分 は、兄弟の手作りの本たちが並ぶ左側の壁だ。兄弟は個別に、または共同で本を制作している。 しかし本の流れは非常に自然で、まるでひとりの人間の視覚から構成されたようにみえる。本か ら本への流れもまた同じだ。 

膨大な量のイメージからは、社会の告発や問題意識は見て取れない。彼らの記録が「喪失」か ら始まったことを考慮した時に見えるような特有の圧倒的な切迫感や執着的な姿も、やはり見 て取れない。ありのままの記録だ。兄弟の写真は自由だ。公式に出版された少数の本を除けば、 すべて手作りで制作されたため、形式もまた自由だ。1010年という歳月の膨大なイメージは自 由な形の中で見るものを飽きさせない。 

記録は1010年という時間の流れを背負い強力な力を生み出す。この正直さこそが、大道兄弟 の写真が持つ力だと信じている。彼らの写真は「記録」の直訳である「ドキュメンタリー」とも異 なり、むしろ非常に私的な歴史書に似ている。 

彼らは黙々と記録する。現代社会でしばしば過小評価される「忍耐」の価値に該当するかもし れない。彼らは黙々と写真を撮り、脈絡を作り、結果物を提示する。そしてその過程をまた繰り 返す。この率直さが彼らの写真を強くする。 

「見て」「記録して」「作り出す」という行為が積み重なった時間の全てが、ひとつの壁に広がって いる。それでTIME UPON A TIMETIME UPON A TIMEなのかもしれないと思った。 

この展示の全ての焦点は、写真を「見ること」に合わせられ、大道兄弟は展示の趣旨に忠実に、 できるだけ多くのことを見せようとしていた。そしてその写真を見た第三者の感情が気になった ことだろう。展示場の片隅に置かれた芳名録には展示を見た人のフィードバックが書かれてい た。ほとんどの芳名録は名前と日付だけを残すのに反して、短くても簡単な文が多く書かれてい るのを見ると、このフィードバックはおそらく、長い時間をかけて出した兄弟の全てを見た人が 残した一 種の挨 拶かもしれないし、意 識してかどうか、兄 弟の積み重なった時 間 ((TIMETIME))の、僅かな一部に残りたい((UPON A TIMEUPON A TIME))という小さな欲 望から始まったものかもしれないという気がする。